일본 동북지역 지진발생 후 한 달이 지난 지금 일본은 후쿠시마 제1원전을 제외하면 상당부분 정상화가 진행되고 있다. 두절되었던 동북지역 고속도로와 직할국도는 100% 가까이 복구 되었고, 폐쇄되었던 15개 항만도 현재는 모두 이용가능하다. 신칸센(고속철)과 철도는 4월 말이면 원전지역을 제외한 전구간이 정상화될 전망이다.

일본의 산업계도 빠른 회복을 보이면서 자동차, 전기전자, 석유화학, 철강 등 생산을 멈추었던 기업들 대부분 부품공급 상황에 맞추어 생산 활동을 재개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지진으로 피해가 컸던 반도체 웨이퍼와 폴리에스테르 계열 합섬섬유의 재료인 ‘파라시클렌’ 등 소재분야 일부품목은 생산정상화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서, 관련 우리기업의 조달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전 세계 웨이퍼 시장의 60%를 점유하는 신에쓰(信越)화학과 SUMCO 측의 피해공장은 여전히 가동중단 상태이며, 우리나라는 웨이퍼 전체 수입량 중, 일본산의 수입비중이 51.3%를 차지하고 있어 조달차질이 예상된다. 또, 석유화학업계의 핵심제품인 ‘파라시클렌’의 일본 최대 제조업체인 JX그룹은 동 제품의 수출을 중단 할 예정인데, 우리나라의 동 제품 전체 수입량 중 일본산 비중이 50%가 넘어 수입선 다변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일본 지진으로 가장 우려되었던 일본으로부터의 전반적 부품조달은 비교적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다. 지진발생 이후(3.12~29)에도 부품소재 위주의 대일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하였고, 대일 부품수입 중견 중소기업 200개사를 대상으로 한 피해현황 조사에서도 응답기업의 7%만이 피해를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3.17일부터 KOTRA에서 운영 중인 지진피해애로센터에 접수된 지원요청도 4건에 불과하다.

한편, 대일수출은 지진발생 이후 전년 동기대비 51.2%가 증가하면서 당초 차질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있으며, 오히려 생산정상화 진전과 복구수요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KOTRA가 일본지역 4곳의 KBC(Korea Business Center)에 설치한 Help Desk에서도 일본기업 24개사로부터 건자재, 소형발전기, 건전지, 식품 등 다양한 품목의 긴급 조달요청이 쇄도하고 있어서 해당분야의 수출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KOTRA 일본사업처 정혁 처장은 “이번지진은 부품조달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다시 상기시켜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고부가가치 부품소재에서의 한-일간 협력은 더욱 강화 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으며, “일본기업의 복구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적극적인 협력자세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하였다.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