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일리]우리나라 기혼 여성들은 35세가 넘어가면 출산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진행한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결과, 현재 배우자가 있는 15~49세 여성의 84.8%가 '향후 출산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반대로 출산 계획이 있는 여성의 비율은 10.4%로 3년 전인 2015년 12.0%보다 1.6%포인트 감소했다.

조사에 따르면 여성들은 대부분 35세 이전에 출산을 마치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별로 향후 출산 계획이 없는 유배우 여성 비율은 25세 미만 45.8%, 25~29세 46.3%, 30~34세 55.9% 등 30대 초반까진 50% 안팎을 보이다가 35~39세 때 82.3%로 26%포인트 이상 급증했다. 이후에는 40~44세 94.4%, 45~49세 98.7%까지 올라간다.

출산 계획을 세운 경우도 25세 미만에서 44.2%로 가장 높았다가 30~34세 때 30.2%까지 서서히 낮아진 뒤 35~39세 때 11.9%까지 급감했다.

이소영 보사연 연구위원은 "대부분 출산이 35세 이전에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라며 "만혼화 현상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자녀 출산 계획을 세우고 있는 기간이 짧다는 의미이며 이것이 출생아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기혼 여성들 중 2명 이상의 자녀를 원하는 경우가 많은데도 출산율로 이어지진 못했는데, 일·가정 양립 실현의 어려움과 양육 부담이 그 이유로 꼽혔다.

실제 출산한 자녀수와 향후 출산을 계획한 자녀수를 더한 '기대자녀수'는 1.92명이었다. 구체적으로 2명이 60.9%로 가장 많고 1명(21.2%), 3명 (14.2%), 무자녀(2.1%), 4명 이상(1.6%) 순이었다. 이는 실제 출생아수인 1.75명보다는 많지만 평소 기혼 여성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수 2.16명보다 0.24명 적은 수치다.

이와 관련해 '인생 목표를 실현하기에 적정한 자녀수'를 묻는 문항에서 '전문가로서 경력을 쌓는 것'이라는 인생 목표에는 필요한 자녀 수를 '0명'으로 답한 비율이 37.5%로 가장 높았다. 이는 28.4%였던 2015년보다 경력을 쌓기 위해 무자녀를 선호하는 경향이 심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소영 보사연 연구위원은 "국가가 개인에게 (출산이라는) 선택을 강요해선 안 되지만 선택하고 싶은 항목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것은 필요하다"며 "자녀 출산과 양육을 위한 경제적 지원,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이 최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