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5일 유·무선 통신기술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접목한 비즈니스 현장을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 과천시에 소재한 KT-MEG(마이크로에너지그리드) 관제센터를 방문했다. (사진 = 산업통상자원부)

[뉴스데일리]산업통상자원부의 내년 예산안 규모는 6조7706억으로 편성됐다.

산업부는 일자리중심 경제, 혁신성장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전환, 미래신산업 육성, 수출구조 고도화에 역점을 뒀다.

산업부는 “전체 예산안 규모는 총 6조 7706억원으로 전년 대비 2.9% 감소했지만, 완료사업 및 자연감소사업, 금년 추경 편성에 따른 선반영분 등을 감안하면 실제 예산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신재생 등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전환…신기술 육성

내년도 예산안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올해 1조4122억 원보다 2448억 원(17.3%) 늘어난 1조6570억 원을 반영했다.

신기후체제 대응, 미세먼지 등의 이슈에 대응해 석탄원전 중심에서 신재생 등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투자를 확대하고 농촌태양광 등 주민참여형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강화하고, 주택·아파트·학교 등 자가용 태양광 보급 지원을 대폭 확대키로 했다.

또 ESS, 스마트그리드, 발전단가 저감 및 효율향상 핵심기술개발 투자 확대를 통해 기존 에너지산업을 스마트화·고도화하고 이를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의 도전을 신산업 창출의 새로운 기회로 만들기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세계적 수준의 IT 인프라와 제조업 포트폴리오를 기반으로 한 ICT주력산업 융합, 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반 기술 및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키로 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에 신규 28억원을 지원하고 지식서비스산업핵심기술개발은 2017년 340억원에서 2018년 422억원으로 증액했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세계 각국은 지금 4차 산업혁명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며 “정부도 자율주행차, 드론 등 신산업에 R&D, 세제 등을 집중 지원하고, 제조-ICT-서비스 융합 플랫폼을 기반으로 수출품목을 고부가가치화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서비스 수출도 2022년까지 세계 10위권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 유망 신산업 분야에 투자…수출시장 다변화

스마트카·드론·로봇 등 유망 신산업 분야에 대한 신기술 융합·실증 등에 대한 투자도 강화한다.

인공지능 바이오로봇 의료융합 기술개발에 새롭게 28억원을 투자하고, 지식서비스산업 기술개발예산도 82억원 증액된 422억원이 내년에 투자된다.

자율주행자동차 핵심기술 개발에는 올해(89억원)의 2배 수준인 181억원을 투자한다. 국민안전로봇 프로젝트에도 내년에 103억원이 쓰인다.

제조업 재도약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주력산업의 스마트화 투자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신발 지능형 공장에 10억원, 스마트공장 제조 핵심기술 개발에 40억원을 신규로 투입한다.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수출 모멘텀을 지속하기 위해 수출 품목 다양화, 시장 다변화 등 수출구조 혁신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수출구조 고도화 부문 예산은 162억원 증액됐다.

수출기업의 국내투자를 늘려 고용확대와 소득증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 나갈 계획이다. 산업부는 기업의 해외투자를 국내투자로 적극 유도해 수출과 함께 국내 고용을 확대하고, 이를 위해 유턴투자, 지방이전투자 등 각종 투자유치 지원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편할 계획이다.

예산은 수출이 양질의 일자리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소·중견기업 대상 마케팅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균형을 이루는 수출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수출산업을 고도화한다.

새로운 무역·통상 로드맵을 마련해 유망 신흥시장으로 우리 수출시장의 저변을 확대한다.

중·미 시장에 편중된 수출을 다변화하고, 수출 대체시장 확보를 위해 ASEAN·인도 등 전략지역에 대한 특화 무역사절단 파견, 수출상담회 개최 등의 활용을 확대한다. 세계적 보호무역 확산에 적극 대응하고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과의 전략적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지원도 확대 추진한다.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