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오른쪽 두번째)가 27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린 창업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국무조정실)

[뉴스데일리]창업 중심의 교육과정·학사제도와 창업 친화형 교원 인사제도 마련, 대학창업의 자금기반 확충 등을 통해 대학을 혁신과 창업의 중심지로 집중 육성해 나간다.

또한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학교기업 등을 활용해 현장밀착형 창업교육을 실시하고, 출연(연)·창조경제혁신센터·해외대학 등 국내·외 유관기관과의 교류를 통해 공동 보육 및 글로벌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부는 27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창업 활성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한 ‘대학발(發)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추진방향

먼저 기술창업 확산을 위해 창업을 중심으로 대학의 패러다임을 정립한다.

4차 산업혁명 및 일자리 창출 선도를 위해 기존 ‘교육’, ‘연구’ 역량을 연계해 ‘창업’을 중심으로 대학의 역할과 운영의 변화를 유도하고 기술창업 중심으로의 대학 운영 시스템 변화를 위해 기존 사업을 활용하고 관계부처 협업을 통해 (대학원 중심)기술혁신형 창업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창업 친화적인 학사제도 등 마련 등 시범사업을 2분기 중 추진한다.

과학기술원의 기술창업 기반 조성을 위해 KAIST의 창업맞춤형 교육과정(K-School)을 확대 운영하고 운영성과를 바탕으로 타 과기원으로 확산시킨다

총장 주도로 학내 창업활성화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과학기술원 총장 임용시 성과계약서에 ‘창업활성화’를 주요항목으로 포함하고 대학원 재학생에 제공되는 창업공간 및 기숙사, 창업지원금, 학내 창업 프로그램 등 지원을 창업 휴학생까지 확대한다.

창업자 권리보호 및 각종 정보제공 등을 위해 창업시 발생가능한 분쟁 및 특허소송 사례, 학교의 다양한 창업지원 프로그램 등을 담은 ‘교수-대학원생 창업가이드’를 제작·배포하고 대학생의 경우에도 창업 관련 교과목을 필수교과목으로 신설하고 기술창업실적을 졸업요건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개선한다.

연구성과 기반 기술사업화 지원을 통해 대학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한다.

LINC+사업에 대학원 참여를 허용해 대학원생 및 연구실(LAB)을 통한 (신)기술창업을 유도하고 산업선도형 고급 기술의 사업화를 추진한다.

BRIDGE+사업을 통해 특정 기술분야 중심의 기술사업화(기술이전, 기술창업 등)로 대학이 기술혁신, 신산업창출 등을 선도하도록 지원한다.

기술사업화 자립기반 확보를 위해 대학기술경영센터(TMC)를 통한 TLO·기술지주회사의 IP창출·관리, 기술이전·창업 등을 통합 지원한다.

SW 중심대학을 통한 SW분야 창업 확산을 위해 실전형 SW교육(전공자) 및 SW 융합전공교육(비전공자)과 함께 기업가 정신 및 리더십, 기술사업화 등 창업 관련 실무교육 병행 실시한다.

각 SW중심대학별로 사업화가 가능한 캡스톤 디자인을 선정하고 창업교육, 멘토링, 사업화 지원 등 창업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한다.

대학창업기업 재원 마련 확대 및 보증 활성화도 추진한다.

학생들이 실패에 대한 부담 없이 대학 창업에 도전할 수 있도록 투자 지원하는 대학창업펀드를 대학의 아이디어와 기술이 실전 창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정부와 대학, 지자체, 동문 등의 매칭으로 대학별로 조성하고 미래과학기술지주 활용을 통한 엔젤투자도 확대한다.

대학의 기술창업을 지원하는 특화 보증 프로그램도 늘린다. 대학원생·교수가 창업한 기술형 초기벤처기업에 대해 특화 보증 프로그램(기보)을 지원하는 대상 대학을 확대을 지난해 5개 대학 에서 올해 10개 대학으로 확대한다.

실전 창업교육 강화 및 창업저변 확대를 위해서는 ▲현장밀착형 창업교육 실시 ▲대학 창업문화 활성화 ▲창업 유관기관 간 연계 강화 ▲대학창업 국제교류 및 글로벌 인재 참여 확대 등을 추진한다.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고 학교기업을 활용한 창업실습 및 창업을 촉진한다.

대학 창업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도전! K-스타트업 등 창업경진대회를 통한 붐업, LINC+ 대학창업 거점센터 운영 등 창업문화 확산 지원, 찾아가는 창업행사 개최, 창업카페 운영 등을 시행한다.

출연연구기관 및 5개 연구개발특구와의 창업 활성화 연계, 창조경제혁신센터 및 지자체와의 협력 지원, 우수 아이디어의 창업 유도 및 권리화를 위한 특허 지원 등 창업 유관기관 간 연계도 강화한다.

글로벌 창업 지원을 위한 해외교류 활성화와 국내 외국인 유학생 창업활동 지원도 방안에 담았다.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