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는 말의 의미를 옳게 알아야 비로소 박근혜 의원으로부터 정국 및 국정운영과 관련한 모든 협조를 구할 수 있다.

4.29 재 보궐 선거에서 참패한 한나라당은 지금 국민으로부터 외면당하는 위기의 순간을 맞고 있다. 지금 한나라당은 무엇이 문제이며, 어떻게 해야 현재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나? 물론 이러한 위기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한나라당은 쇄신위를 구성하고 원희룡 의원을 쇄신위원장에 임명했다.

그러나 국민이 생각하기에 한나라당의 이런 행태는 국민을 상대로 눈감고 아옹 하는 것과 하나도 다르지 않다. 즉 한나라당 쇄신위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당의 운영과 관련하여 제도적 미비점을 찾아내고 이를 보완하는 것 이상의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금 한나라당의 위기는 한나라당의 당 운영에 필요한 제도적 기반의 취약성 때문에 발생한 것이 아니다. 당과 정부의 권력적 위상 때문에 발생하고 있다. 특히 모든 권력이 정부가 아닌 대통령 친위세력에 집중되면서 당의 역할이 배제되고 있고, 이러한 가운데 당내 비주류 측은 당내 역할과 관련해 그야 말로 꿔다놓은 보리자루에 불과하다.

물론 우리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했는지 그 이유를 알고 있다. 바로 여의도 정치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강한 불신 때문이다. 어쩌면 이 대통령이 생각이 곧 국민의 생각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대통령과는 달리 국민은 여의도 정가에서 일어나는 일을 오래도록 기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점을 이 대통령은 간과하고 있다. 더군다나 이 대통령이 구상하고 있는 국정운영은 여의도 정치 즉 국회가 뒷받침하지 않는 한 실행할 수 없다.

현재 집권당인 한나라당 의석수는 과반을 훌쩍 뛰어넘는 의석수를 자랑하지만 그 내면을 들여다보면 그렇지도 않다. 당내 비주류 측인 친박성향의 의원들은 물론이고, 일부 중도성향의 의원들 역시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에 대해 상당히 못마땅해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비주류 측을 대표하는 박근혜 의원의 정치적 영향력이 너무 크기 때문이다. 사실 3김이 물러난 후 대중적 정치기반을 가진 이는 박근혜 의원뿐이다.

이런 점에서 이명박 대통령은 박근혜 의원을 배제한 채로는 결코 정국도 국정운영도 성공은커녕 안정시킬 수조차 없다. 현실에서 많은 국민이 이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이명박 대통령은 반드시 주지해야만 한다. 거듭 말하지만 이 대통령은 박근혜 의원의 정치적 영향력을 적극 활용해야만 비로소 정국주도 및 국정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이 대통령은 아래에 전개한 글의 내용을 잘 숙지해야한다.

저도 속고, 국민도 속았다는 그 말의 의미

2008년 3월 23일 국회 정론관에서 박근혜 의원은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9총선 공천과 관련한 견해를 밝히며 "약속과 신뢰가 지켜지기를 바랐지만, 결국 저는 속았고, 국민도 속았다"면서 "당 대표와 지도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과연 박근혜의원이 한 이 말 즉 지난 4.9 총선과 관련해 “저는 속았고, 국민도 속았다”는 이 말에는 무슨 의미가 담겼는가? 이 말은 곧 지난 4.9 총선을 위한 한나라당 공천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기는 하나, 보다 직접적으로는 바로 ‘청와대에서 내려간 비례대표 의원 후보자 명단’을 겨냥한 것이었다.

그렇다. 역시 박근혜 의원다운 말을 했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이명박 대통령은 이 당시 충분히 박근혜 의원을 배려했어야만 했다. 물론 여기서 말한 배려란 이 문제와 관련해 청와대는 박근혜 의원을 불러 한 번이 아니라 여러 번 상의했음이 옳다.

그러나 집권 초기 이명박 대통령은 박근혜 의원을 찾지 않았고, 더군다나 4.9 총선을 위한 후보공천, 특히 비례대표 위원 후보 선정과정에 박근혜 의원을 철저히 배제했다. 가뜩이나 2007 대선 후보 선정을 위한 한나라당내 경선과정에서 두 후보 진영은 서로에게 상처를 주기에 충분한 정도의 설전을 벌인 것이 사실이다. 이렇고 보면 이 때 입은 서로의 상처를 보듬기 위해서는 4.9 총선을 위한 후보자 공천과정에 서로 충분한 논의가 있어야만 했다.

그러나 그렇지 못했다. 물론 이 점을 청와대 측의 문제로만 돌릴 수는 없을 지도 모른다. 엄연히 당시 당을 이끌었던 강재섭 당대표가 있는 마당에 박근혜라는 평의원을 따로 불러 이 점을 상의하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 있었다.

결국 이 문제는 강재접 전 한나라당 대표의 당시 당 운영이 이명박 대통령 측에 너무 기울어 있었기 때문이며, 당시 당 대표로서 사안을 옳게 보지 못한 강재섭 대표의 책임론에 무게를 더 싣는 것이 옳지 않을까한다.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 것에 대한 최종 책임은 이명박 대통령에게 있다. 결국 이 때 옳은 판단을 하지 못한 이명박 대통령은 동지를 동지로 포용하지 않는 리더십의 우를 범한 셈이다.

이후에도 이명박 대통령은 박근혜 의원에 대한 충분한 배려가 없었다. 더군다나 이명박 대통령의 이 같은 리더십 실패가 이 대통령의 자의적 판단이었다면 박근혜 의원로서는 좀더 이해할 수도 있지 않았나 한다. 박근혜 의원의 입장에서 보면 이런 사태가 발생한 배경에 이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의 역할이 있었다고 생각하기에 충분하다. 이 점을 생각하면 박근혜 의원으로서는 정말 서운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공적인 일에 대통령의 사적감정이 이입되었다고 생각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아직 이명박 정부가 가야 할 길은 3년 8개월이라는 긴 시간이 남아있다. 이 시간 동안 이 정부가 성공하자면 박근혜 의원의 정치적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런 점을 고려해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년 2개월 여 동안 인사 등 여러 측면에서 실질적 권력으로 작용한 이들을 이제는 배척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이 떠난 자리에 박근혜 의원이 들어와 당과 정부의 성공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길을 터주어야 한다. 만일 추후 박근혜 의원의 정치적 도움을 구하지 못한다면, 오는 10월 국회의원 재 보궐 선거는 물론이고, 내년에 있을 지방의원 선거에서도 한나라당은 참패를 격을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한 가지 아이러니 한 점은 앞서 말한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패하더라도 박근혜 의원에 대한 국민적 지지도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이다. 어쩌면 이명박 정부에 대해 실망한 많은 국민은 오히려 박근혜 의원지지 쪽으로 급선회할 가능성이 더 크다.

사실 지금 한국정치에 있어서 야당은 완전히 국민으로부터 버림 받은 상태라 이명박 정부에 대한 지지를 철회하더라도 야당을 지지하는 세력으로 돌아가지 않는다. 이게 현실의 한국정치다.

이런 점을 고려해서라도 이명박 대통령은 이제 과욕을 버리고 오로지 국민을 위한다는 그 마음에 기대어 박근혜 의원을 포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대통령이 할 수 있는 일은 단 한가지다. 바로 한나라당 당권을 박근혜 의원에게 맡겨, 현실정치를 박근혜 의원이 주도하도록 과감하게 길을 열어 주는 일이다.

이후 이 대통령은 국정운영만을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해야 한다. 어쩌면 이 대통령이 국정을 원활히 운용하기 위해 야당과 협조하는 것이 오히려 박근혜 의원을 상대하는 것보다 더 쉬울 수 있다. 그만큼 박근혜 의원의 정치철학은 이성적이다.
야당의원들이 듣게 되면 서운할지 모르지만, 야당의 협조는 저들의 요구를 들어 줌으로써 구할 수도 있지만 박근혜의원의 협조는 국민을 위한다는 대원칙에 부합하지 않는 한 구하지 못할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박근혜 의원을 국정운영 파트너로 삼아야만 비로소 국정운영에 성공할 수 있다.

2009.5.16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