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 금융위기 국내 신용경색 가능성 제한적”

기획재정부는 2일 ‘한국의 단기외채가 외환보유액에 거의 육박해 안심하기 이르다’는 일부 외신의 보도에 대해 “한국의 외채는 과도한 수준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지난해말 기준 1년 이내 갚아야 할 외채(유동외채)가 1940억달러, 외환보유액이 2012억달러로 외환보유액 대비 유동외채 비율은 96.4%로 집계됐다.

이를 근거로 영국 이코노미스트,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일부 외신은 외채상환능력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며 단기외채 문제는 아직 안심하기 이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재정부는 외채 중에는 조선사가 환리스크를 피하기 위해 미리 선물환을 팔아 놓은 환헤지용 외채가 많은데도 겉으로 드러난 숫자만 볼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재정부는 “조선사 등 환헤지용 차입금 390억달러를 제외하면 유동외채비율은 77%로 내려간다”며 “세계경기 침체에 따른 선박수주 및 해외증권투자 위축으로 환헤지용 외채가 줄어들면서 장단기 외채 규모 역시 감소할 전망”이라고 밝혔다.

재정부는 또 외신 보도에 대해 은행, 기업 등이 외채상환능력이 전혀 없어 정부가 외환보유액을 다 털어 단기외채를 갚아줘야 하는 극단적 상황을 전제했다고 지적했다.

재정부는 “은행권의 외환건전성을 나타내는 외화유동성비율은 100%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지난해 10월중에도 기간물 차환이 50%에 이르렀음을 볼 때 롤오버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는 가정도 비현실적”이라고 설명했다.

또 “올해 경상수지가 130억달러 흑자 전망에다 미국, 일본, 중국과 900억달러 상당의 통화스왑체결 등 외환수급상 여유도 감안할 때 단기외채 문제는 시장의 기우”라고 덧붙였다.

동유럽 금융위기 여파에 대해서도 “가능성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일축했다.

국내 금융사의 동유럽권 익스포져가 지난해말 기준 약 19억달러로 총자산의 0.11% 수준이며, 설령 동유럽에 익스포져가 큰 서유럽 국가가 국내에서 자금 회수를 할 경우에도 우리 금융사가 서유럽국 중 동유럽에 익스포져가 큰 나라 소재 은행에 차입한 규모가 크지 않아 직접적인 파급효과는 제한적이란 설명이다.

한편, 2월말 현재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2015억 4000만달러로 지난해말보다 조금 늘었다.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