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일리]작년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다.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속보치와 같은 2.0%를 나타냈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은 1.3%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올라갔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9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달러화 기준)는 3만2천47달러로 전년(3만3천434달러)보다 4.1%(1천387달러) 줄었다.

이 같은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다. 가장 최근 1인당 GNI가 감소한 적은 2015년(-1.9%)이었다.

명목 GDP 성장률이 실질 GDP 성장률을 밑돈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표시 소득을 끌어내린 영향이다.

원화 기준 1인당 GNI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3천735만6천원이었다.

한국은 지난 2017년(3만1천734달러)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연 바 있다.한은은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를 연 2.0%로 발표했다. 지난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다.

이에 비해 4분기 실질 GDP는 전기 대비 1.3% 성장해 속보치 대비 0.1%포인트 상향 조정됐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0.3%포인트) 등이 하향 조정된 반면 설비투자(1.8%포인트), 건설투자(0.7%포인트), 민간소비(0.2%포인트)가 상향 조정된 영향이다.

연간 기준으로 성장 기여도는 민간이 0.5%포인트, 정부가 1.5%포인트를 각각 차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 둔화 등 민간 부문의 성장세가 약화한 가운데 정부가 재정을 확장적으로 운영한 데 따른 영향"이라고 설명했다.지난해 명목 GDP는 1천914조원으로 전년 대비 1.1% 성장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명목 GDP 성장률 둔화는 반도체 가격 하락으로 교역조건이 악화한 탓이다. 실질 GDP 성장률이 같아도 명목 GDP 성장률이 낮으면 경제주체가 성장을 체감하기 힘들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대비 0.9% 하락했다. 2006년(-0.2%) 이후 13년 만의 감소이나, 하락폭은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컸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에게 밀접한 물가만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국내에서 생산한 수출품과 투자재 등을 포함한 국민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준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 급락으로 인해 수출 디플레이터가 크게 하락하면서 GDP 디플레이터를 끌어 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총저축률은 34.6%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하락했다. 2012년(34.5%) 이후 7년 만에 가장 낮았다.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