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데일리]우리나라 공무원은 평균 27세에 신규임용됐으며 평균연령은 만 43세, 임용 후 평균 재직기간은 16.2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직 일반직공무원은 절반 이상이 9급으로 채용됐으며 9급에서 5급으로 승진하는 데는 평균 24.4년이 걸렸다.

전체 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46.5%로 2013년 43.2%보다 3.3%포인트 늘었다. 이는 최근 5년간 공채 합격 여성이 지속해서 증가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2018년 공무원총조사’ 결과를 25일 공개했다.

총조사는 공직 내 인적자원의 변동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5년 주기로 실시한다.

지난해 8월 기준 전체 공무원은 106만 8629명이다. 조사는 휴직자 등을 제외한 102만 1932명이 대상이었으며 이 중 97만 4485명(응답률 95.3%)이 참여했다.

전체 공무원의 평균연령은 43.0세로 2013년 조사 때 43.2세와 비슷했다.

9급에서 5급으로 승진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24.4년으로 5년 전과 비교해 0.8년 단축됐다. 이는 지난 2012년 계급별로 승진소요 최저연수를 단축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인사처는 분석했다.

공직 평균 재직연수는 16.2년으로 5년 전(16.8년)보다 감소했지만 여성 공무원의 평균 재직연수는 5년 전 15.4년보다 소폭 증가한 15.6년으로 나타났다.

이는 50대 이상 여성 공무원 비율이 2013년 27.5%에서 지난해 34.1%로 높아지는 등 장기 재직하는 여성 공무원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전체 공무원 휴직 가운데 육아휴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5년 전 53.2%에서 59.9%로 6.7%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병역휴직은 19.4%에서 9.6%로 9.8%포인트 줄었고 질병휴직도 14.1%에서 12.2%로 소폭 감소했다. 

학력 수준은 대학교 졸업이 54.2%로 가장 많고 대학원 이상 21.8%, 전문대 졸업 13.2% 순으로 나타났다. 대졸이상 학력은 76.0%로 2013년 70.3% 대비 5.7%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가 있는 공무원의 경우 평균 자녀 숫자는 2013년 1.94명보다 약간 감소한 1.88명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공무원의 82.1%는 기혼자이며 기혼자 가운데 맞벌이를 하는 비율은 51.4%였다.

맞벌이 비율은 교육공무원이 59.9%로 가장 높으며 경찰·소방공무원의 맞벌이 비율이 39.0%로 가장 낮았다. 기혼자 중 배우자가 공무원인 경우는 27.1%였다.

대부분 아파트(76.8%)에 거주했고 무주택자의 비율은 35.6%였다. 공무원의 통근 평균 거리는 10.1Km이고 평균 소요시간은 32분이었다.

통근 수단은 전국적으로 자가용이 60.2%로 가장 많았으나 서울 지역은 자가용 27.1%, 버스 및 전철 54.5%로 조사됐다.

공무원의 노후 대비 수단은 공무원연금(43.5%)이 가장 많아 5년 전(43.6%)과 비슷했다.

휴일 등 쉬는 날에는 TV 시청(18.8%), 스포츠 참여(14.9%), 산책 등 휴식(14.5%) 등으로 여가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5년 전에 비해 TV시청이 3.7%포인트 증가했다.

영어 사용 가능 공무원은 2013년보다 31.7% 늘어난 66만 5000여명, 중국어는 70.7% 늘어난 5만 4000여명, 일어는 47.5% 증가해 11만 5000여명으로 조사됐다.

황서종 인사처장은 “앞으로 총조사 자료를 빅데이터로 축적·활용해 공직사회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인사분야에 있어서도 정부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